본문 바로가기
교구연혁 오늘의 교회가 나아갈 길을 비추는 믿음의 기록

교구설정 전

농은 홍유한 선생은 1750년부터 성호 이익의 제자들과 함께 서학문인 「천주실의(天主實義)」와 「칠극(七克)」, 「직방외기(職方外紀)」등을 공부하였고, 한국교회의 시작이라 일컬어지는 천진암 강학회 이전에 이미 칠극에 의한 수계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57년 성호 이익 선생이 권하는 대로 산속에 기거하며 치료와 휴양을 하기 위하여 서울 집을 팔아 친척들이 살고 있는 충청도 예산으로 이사해서 천주교를 더욱 깊이 연구하는 한편 자신의 호를 농은이라고 지어 18년 동안 조용하게 수계생활을 하였다. 1775년부터는 수계생활에 더욱 적합한 곳을 찾아 영남지방으로 내려와 소백산 아래 순흥 고을 동쪽 십리에 있는 단산 구구리(배나무실)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안동교구에서는 천주교 교리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수덕자인 홍유한 선생의 삶을 교구지역 신앙의 배경으로 인정하고 있다.

1969년 이전 역사

연도 날짜 교구관련역사
1726 농은 홍유한(農隱 洪儒漢 1726~1785), 서울 아현동에서 출생
1742 홍유한, 성호 이익(星湖 李瀷)의 문하생 입문
1750 성호 이익과 홍유한, 『천주실의』, 『칠극』 등 서학 서적 연구
1751 홍유한, 성호 이익의 문하생 중심 '교리연구반' 결성
1757 홍유한, 예산의 여촌(여사울)으로 이주, 이존창과 홍낙민을 제자로 삼음
1770 홍유한, 천주교 교리에 따른 신앙적 수덕생활 시작
1775 홍유한, 예산의 여사울에서 경상도 순흥 고을로 이주
1776 이기양과 권철신, 순흥 고을 홍유한의 거처 방문
홍유한, 홍낙민과 이존창 등을 교리연구반 '강학회'에 천거
1785 1월 30일 최초의 수덕자 홍유한 선종
5월 27일 홍유한, 봉화군 우곡리 문수산 중턱에 안장
추조적발 사건으로 서광수, 아들 유도와 함께 상서면 배목이로 도피
1798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증조부 김종한 안드레아, 우련밭(오미평지)으로 이주
1800 2월 중순 황사영, 박해로 예천과 봉화 곰직이에 피신, 베론으로 다시 피신
1801 유배, 귀양, 피난으로 소백산, 태백산, 예천 등지에 신자촌 형성
1815 4월 배교자 전지수의 밀고로 청송, 진보, 영양 등지에서 130여명의 신자 체포됨
청송에서 체포된 신자들 옥사
1827 정해박해, 멍에목과 앵무동 교우들 체포되어 일부 옥사
1831 7월 교황청, 조선 포교지를 북경교구에서 분리 및 독립 최종 결정
1839 정해박해 때 체포된 이들 참수 순교, 충남으로 간 이들은 전주에서 순교
1857 페롱 신부, 산막골 교우촌을 중심으로 활동, 경상도 서북부 지역 담당
1861 3월 30일 칼레 신부 조선 입국
6월 10일 최양업 신부 문경에서 병사
1865 12월 예천에서 교난 일어남
1866 상주, 함창, 문경, 예천, 예안, 봉화, 의성 등에 공소 조성
칼레 신부, 한실 교우촌 중심으로 사목
1월 6일 예천에서 체포된 2명 신자, 공주감영에서 순교
12월 상주관아로 압송된 교우 19명 교형 순교
12월 21일 박상근 마티아, 숙모 홍 마리아, 친척 박 막달레나 상주 옥에서 순교
1867 1월 4일 문경에서 잡힌 신자 3명 대구로 압송, 관덕정에서 순교
1868 경북지역에서 체포된 교우들 충주, 청주, 진주, 서울, 공주, 등지에서 순교
1869 탈옥한 방사선 회장의 활약으로 공소 설립, 신자들 보호
1882 김보록 로베르 신부,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의 26개지역 43개 교우촌 순방
1884 6월 20일 리델 주교 프랑스에서 선종. 블랑 주교, 제7대 조선 대목구장 승계
1890 블랑 주교 선종. 뮈텔 신부, 조선교구 8대 교구장에 착좌
1911 대구 대목구 설정, 대목구장은 드망즈 주교
1922 9월 24일 공평(점촌)본당, 물미(퇴강)본당 설정
1924 10월 5일 공평성당 축성식
10월 6일 퇴강성당 축성식, 주보는 '성모 그리스당의 도움'
1927 5월 20일 안동본당 설정, 초대 주임 서정도 벨라도 신부 발령
11월 1일 물미성당, 대구대목구 최초 본당 「천주교 회보」 발간
12월 24일 안동성당, 화재 발생
1928 10월 14일 안동본당, 안막동 성당과 사제관 수리 후 첫미사 봉헌
1932 5월 22일 예천본당 설정, 초대 주임 이기순 도미니코 신부 발령
1934 8월 15일 쌍호공소 경당 증축, 안동 지방 대홍수로 안동성당 마당을 노숙장으로 이용
1935 9월 27일 드망즈 주교, 신사 참배 허용 통보
1936 5월 11일 상주본당 설정 및 성당 신축, 초대 주임 김문옥 요셉 신부 발령
1937 10월 18일 드망즈 주교 사목방문(~25일)
1938 2월 9일
12월 13일
대구대목구장 드망즈 주교 선종
대구 제2대 대목구장 무세(Jean Germain Mousset) 신부 임명
1942 5월 21일 함창본당 설정, 초대 주임 이기수 야고보 신부 발령
7월 7일 대구대목구장 무세 주교, 일제 압력으로 대목구장직 사임
8월 30일 제3대 대구대목구장, 하야사카 구베에 신부 임명
1945 4월 총독부, 안동본당 쌍호공소 건물 징발
1946 2월 20일 전주 지목구 주재용 바오로 신부 대구대목구장 착좌
1948 2월 23일 안동 본당에 부산 성베네딕도 수녀회 파견
1949 1월 30일 최덕홍 요한 주교 서품 및 대구대목구장 착좌
9월 15일 함창 본당 '성모유치원' 개원
12월 8일 안동성당, 목성동에 성당, 사제관, 수녀원 신축 봉헌, 주보는 '성모무염시태'
1950 한국전쟁으로 함창본당 '성모유치원' 개원 중지, 안동본당 '대건유치원' 폐원
대구대목구 산하 31개 성당 중 21개 성당 파괴 및 손실
1951 3월 상주성당, '성모유치원' 설립 및 '은보의원' 개원
1952 1월 1일 대구대목구 참사회의에서 경북북부 7개 지역, 파리외방전교회에 위탁 결정
(영주, 영양, 영덕, 청송, 안동, 예천, 봉화)
1956 3월 3일 왜관 감목대리구 설립(교황청 승인)
6월 7일 안동성당 화재로 소실
1957 2월 2일 서정길 주교, 상주 황 데레사의 사적 계시에 대한 금지 판정 선언
4월 1일 나환우 정착촌 '상신원' 개원 및 선곡리 거주 환자 이주
4월 24일 안동성당 축성식
5월 28일 가은(왕릉)본당 설정, 초대 주임 지인수 에르네스토 신부 부임
1958 5월 10일 봉화본당 설정, 초대 주임 이성춘 모리스 신부 발령
5월 24일 울진본당 설정, 초대 주임 춘천교구 골롬반회 정 레오 신부 부임
6월 2일 안동 감목대리구 설정, 초대 감목대리구장 하 알레르 신부 부임
8월 15일 영주본당 설정, 초대 주임 배세영 마르첼로 신부 부임
10월 15일 예수성심시녀회 영주본당 파견
12월 7일 문경본당 설정, 초대 주임 지인수 에르네스토 신부 발령(가은본당과 함께 관리)
1959 6월 19일 나환우 정착촌 '성심원' 개원
9월 12일 안동본당, 나환우 정착촌 계명(죽전)공소 설립
10월 서정길 주교, 황 데레사 관련자들에게 2년간 성사 정지 명령
11월 7일 의성본당 설정, 초대 주임 신상도 프란치스코 신부 발령
1960 2월 5일 파리외방전교회 총장 르메르 신부 안동감목대리구 방문
1961   함창성당, 성모고등공민학교 설립 인가, 초대 교장 왕묵도 레지날도 신부
3월 15일 상주성당, '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 진출
5월 25일 다인본당 설정, 초대 주임 김규태 디모테오 신부 부임
8월 11일 교황 요한 23세, 수재구호금 영주성당에 전달
1962 1월 4일 안동성당, 성심유치원 설립
2월 15일 구인덕 첼레스티노 신부 제2대 안동감목대리구장으로 발령
2월 14일 화령본당 설정, 초대 주임 지인수 에르네스토 신부 발령
4월 영덕본당 설정, 초대 주임 도광주 요한 신부 부임
7월 5일 대구대목구 대구대교구로 승격
8월 5일 안동본당, 십자형(+) 성당으로 증축 완공, 첫미사
1963 1월 15일 서문동성당, '분도의원' 개원
10월 8일 영양본당 설정, 초대 주임 노광명 노엘 신부 부임
10월 29일 상주 남성동본당 설정, 상주성당은 서문동성당으로 개칭
1964 3월 5일 의성군 다인면 나환자 정착촌 '신애원' 개원
1965 2월 4일 주평(신기)본당 설정, 초대 주임 김남수 루카 신부 발령
2월 13일 청송본당 설정, 초대 주임 여동찬 신부 발령
3월 7일 우리말 미사경본 정식 사용
8월 1일 퇴강성당 「퇴강주보」 창간호 발간
11월 4일 함창성당 준공, 축성식
1966 1월 18일 안동본당, '교회 일치를 위한 공동 기도의 밤' 개최, 4교파 말씀의 전례
5월 16일 의성성당, 자선병원 형식의 무료시약소(무료진료소) 축성
9월 17일 구인덕 신부 초청으로 룩셈부르크 관구소속 '그리스도의 교육 수녀회' 셀린, 안젤린 수녀 파견
12월 2일 상주본당, 파티마 의원 개원
1967 2월 26일 예천본당 청년회, 「예천천주교회 주보」 발행
4월 16일 의성, 다인 '오묘한 매괴의 꾸리아' 창설
6월 1일 안동본당 첫 주보 「밀알」 발간
1968 4월 9일 영덕본당 성심유치원 설립
1969 2월 4일 봉화본당 성심유치원 설립
3월 11일 영양본당 영양성모유치원 설립
5월 29일 안동교구 설정 및 초대 교구장 두봉 레나도 신부 임명

천주교안동교구 역사관

천주교안동교구
Copyright(c) acatholic.or.kr. All rights reserved.